[J네트워크] 올림픽과 정치
‘스포츠와 정치를 엮지 말라’는 금언은 올림픽 헌장(50조 2항)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어떠한 형태의 시위나 정치적·종교적·인종적 선전도 허용하지 않는다”는 규정이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올림픽은 수시로 국제 정치의 바람을 탔다. 1933년 집권한 아돌프 히틀러는 민족주의 고양과 나치 체제 선전을 목적으로 1936년 베를린올림픽 개최를 밀어붙였다. 거액을 들여 베를린 교외에 10만 명을 수용하는 웅장한 스타디움을 건설해 국력을 과시했다.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는 남자 육상 200m에서 1위와 3위를 차지한 미국인 토미 스미스와 존 카를로스의 시상식 퍼포먼스가 유명하다. 시상대에 오른 그들은 성조기를 바라보는 대신, 검은 장갑을 끼고 고개를 숙인 채 주먹을 하늘 높이 치켜올렸다. 그해 4월 암살 당한 마틴 루터 킹 목사에 대한 추모, 인종 차별에 대한 항의의 뜻을 담았다. 1972년 뮌헨올림픽은 테러로 얼룩졌다. 팔레스타인 테러단체인 검은 9월단이 비밀리에 이스라엘 선수촌에 난입해 선수 5명, 코칭 스태프 4명, 심판 2명 등 11명을 인질로 잡았다. 이들은 이스라엘에 구금된 팔레스타인 포로 234명의 석방을 요구했다. 결국 인질 전원과 경찰 1명이 사망하는 참사로 역사에 남았다. 이후에는 정치적 보이콧이 빈발했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는 인종차별 국가인 남아공과 친선 럭비경기를 개최한 뉴질랜드에 대해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제재를 않는다는 이유로, 아프리카 26개국이 집단 보이콧을 했다.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때는 미국과 서방국가들이 소련의 아프간 침공을 문제 삼으며 집단 불참했고, 1984년 LA올림픽에서는 공산권 국가들이 참가하지 않았다. 4일 개막한 베이징 겨울올림픽도 여러 정치적 파장을 낳고 있다. 우선 미국·영국 등 10개국 이상이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했다. 인권 문제를 명분 삼았지만, 미·중 패권전쟁의 연장선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웃 국가에서도 올림픽을 계기로 반중정서가 커지고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쇼트트랙과 스키점프 판정이 논란이다. 대만에서는 시진핑 주석의 정상급 외빈 초청 연회를 두고 ‘황제식’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이번 올림픽의 슬로건인 ‘함께하는 미래(Together for a shared future)’와 거리가 먼 풍경이다. 한영익 / 한국 중앙일보 정치에디터J네트워크 올림픽 정치 베를린올림픽 개최 멕시코시티 올림픽 몬트리올 올림픽